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kafka 설치
- 하둡
- ORACLE문법
- 하둡2.0
- 하둡1.0
- Catalyst Optimizer
- 하둡에코시스템
- 스파크
- ORACLE MSSQL차이
- 런타임데이터영역
- 데이터파이프라인
- freenom
- AWS Crawler
- 데이터엔지니어링
- EMR 구조
- 문맥교환
- 빌드도구
- 지연연산
- Databricks
- 데이터 수집
- 서버간 복사
- 프로그래머스
- lazy evaluation
- 데이터베이스복사
- Spark 최적화
- 프로그래머스힙
- 실행엔진
- 프로그래머스 큰 수 만들기
- 카프카
- Spark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Kibana (1)
띵유로그

Elasticsearch를 간단하게 사용해보겠습니다. Elasticsearch는 Apache Lucene( 아파치 루씬 ) 기반의 Java 오픈소스 분산 검색 엔진입니다. 방대한 양의 데이터 거의 실시간( Near Real Time )으로 저장, 검색, 분석할 수 있습니다. Elasticsearch는 단독으로 사용되기도 하며, ELK( Elasticsearch / Logstatsh / Kibana )스택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. ELK스택에서 Elasticsearch의 역할은 간단하게 말하면, 정보를 검색, 집계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. EC2 서버에 logstash 를 설치해서 S3 -> elastic search 로 데이터를 옮겨온 후 kibana 로 데이터를 표출해보겠습니다. ..
DataEngineering
2022. 3. 9. 22:38